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iniRT
- 카메라
- superresolution
- pseudo LiDAR
- ouster
- point grey
- extrinsic
- 동시취득
- 라이다
- 직무부트캠프
- 42seoul #printf
- AOLP
- LIDAR
- stereo image
- 삼쩜삼
- 머신비전
- 3d object recognition
- 42seoul
- intrinsic
- 5월종합소득세
- FLIR
- spinnaker
- 의사 라이다
- 코멘토 후기
- 편광카메라
- Python
- 코멘토
- 객체인식
- ft_server
- 논문리뷰
- Today
- Total
문무겸비
사회 초년생 5월 종합소득세 처음 받아본다면? 본문
사회초년생이 되어버린 당신 이제 연말정산 및 세무적인 일을 해야할 때가 되었다. 인턴, 장학금, 상금 등등에서 세금떼였던걸 돌려방을 수 있다면??
만약 하지 않는다면.. 손해는 보지 않겠지만 이득도 보지 못할것이다 사실 이득을 못본다는게 손해 아니겠는가?
글을 끝까지 읽기 싫다면 두가지만 알려드리겠다
1. 삼쩜삼 어플을 사용하자 (그러나 수수료는 나간다)
2. (수수료를 내기 싫다면) 이 동영상 보고 그대로 따라하자 + 기한후신고까지!
www.youtube.com/watch?v=3snADLkLRrE&t=266s
세무, 행정 관련 일이라는게 개개인마다 너무 경우가 달라서 본인에게 딱 적절한 글, 영상이란 찾기 어려운 일이지만, 발품을 팔다보면 얼추 도움이 되는 소스를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다.
삼쩜삼 어플의 경우, 이런 5월 종합세소득신고나, 연말정산같은 세무 행정일을 대신해주는 서비스인듯 한데, 평이 나쁘지는 않지만 수수료를 확실히 떼가는 듯 하다
이것저것 알아보다 보니 짜증나서 그냥 수수료 내고 끌내버릴까 생각도 했는데, 아무래도 순순히 수수료를 내는건 적성에 맞지 않아 어린이날 반나절을 희생해 삼쩜삼에서 예상한 환급액의 대부분을 홈택스로 환급받는데에 성공했다.
490,330원 환급 받았다. 몇천원 비는것도 받을려면 받을 수 있었는데 그냥 너무 귀찮아서 안해버렸다. (하지만 글을 쓰면서 결국 다 받았다)
그럼 내가 환급 받았던 플로우를 설명해보겠다. 가끔 장학금 같은거 받았거나, 프로젝트 하면서 지원금이나 상금 같은걸 탔는데 세금떼고 받았다던가, 인턴을 한 경우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www.youtube.com/watch?v=3snADLkLRrE&t=266s
일단 이 영상을 보는 걸 추천한다. 대부분 설명해준다.
영상을 한번 시청했다면 가장 먼저, 홈택스 -> My홈택스 ->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에 들어가자
그럼 이렇게 본인이 이제까지 받았던(신고가 됐던) 알바비, 소득, 장학금 등이 나온다. 대학 들어오기전에 했던 고깃집 알바 내역도 있었다 신기하다.
저 지급 명세서를 하나하나 살펴보는 걸 추천한다. 안해도 되긴 한데 난 일일이 체크해서 내가 받아야될 목표 환급금액을 설정했다. (그냥 삼쩜삼에서 예상한 환급금액을 목표로 정해도 상관없을거 같긴 한데, 자기 상황을 한번 확실히 파악해보는것도 좋은듯 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내가 받았던 돈, 내가 냈던 소득세가 나온다. 그렇다. 당신이 뺏긴 돈이다. 되찾아야 한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학생 = 거지 이므로 세금을 사실상 100% 돌려받을 수 있다고 들었다.
저 지급 명세서를 5년 전 것까지 체크하여 목표 환급액을 설정해놓자. 만약 모든 절차가 끝났는데도 환급액이 맞지 안는다면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지방 소득세 역시 환급 대상이다.
자 그럼 한번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보자. 홈택스 -> 종합소득세 -> 종합소득세 신고로 들어가면 된다.
UI 정말 못생겼지 않은가? 보기만 해도 숨이 턱 막혀온다 후.
아마도 당신은 일반신고서 - 정기신고작성을 하면 일단 된다. 만약 사업소득, 임대소득이 있다면 수저가 있는것일테니까 그냥 삼쩜삼을 쓰자. (사실 나도 그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할지 알지 못한다)
정기신고 부분은 유튜브 영상을 참고해서 진행하면 된다.
기한후신고
정기신고의 경우 작년 1년 동안의 소득만 계산해주기 때문에, 이번에 처음 종합소득세를 처리하는 사회초년생의 경우 기한후 신고를 대부분 추가로 해주어야 할것이다.
기본적인 프로세스는 정기신고와 거의 유사하다. 다만 귀속년도에서 차이가 있는데, 정기신고의 경우 귀속년도가 해당 년도 즉 작년으로 고정되어있는 반면 기한후신고는 5년 동안의 년도를 선택해서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 5번 까지 해야할 수도..
아까 본인의 5년 동안의 소득을 파악했을 텐데, 그 중에서 소득세가 발생한 년도만 골라서 하면 되겠다.
기한후신고도 유튜브 영상에서의 순서를 따라가면 큰 무리없이 완료할 수 있다.
지방소득세 신고
소득세의 10%만큼 지방소득세로 잡힌다.
신고를 제대로 마쳤다면 여기까지 오게 될텐데, 까먹지 말고 지방소득세까지 신고해서 빠져먹는 돈 없도록 하자 :)
복잡한 설정이 있는데, 굳이 안건드려도 됐었다 내 경우엔.
결론
정기신고, 기한후신고(2019), 기한후신고(2017) 총 3번의 신고를 했으며, 각각 지방소득세신고까지 추가로 하여 6번의 환급 내역이 발생했다.
이번 글을 쓰면서 누락된 신고(기한후신고(2017))를 마저 했는데
490,330 + 2,400 + 240 = 492,970원 (환급받은 세금)
492,976원 (삼쩜삼 예상 환급금액)
결과적으로 삼쩜삼에서 예상했던 환급금액을 99.9% 환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거꾸로 생각해보자면 삼쩜삼이 예상금액 산출은 기가막히게 하는건 맞는거 같다.
이미 잘 만들어진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도 좋지만, 수수료가 아깝기도 하고, 한번 제대로 배워놓으면 두고두고 쓸 수 있으니 한번 시간 들여서 직접 해보는걸 추천한다 ^^